세상의 모든 것 정보모음집

반응형

신용등급 점수표 달라진점

목차

     

    신용등급 점수표를 기준을 확인하여 일정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면, 금융거래를 못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신용등급 점수표를 확인해볼건데요. 예전에 사용하던 등급제 방식은 명확한 기준으로 설정돼어있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 제한되는 부분이 꽤 있기도 했습니다. 아래를 통해 확인해보겠습니다.

    새롭게 바뀐 점수표를 통해서 신용등급을 확인하면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는데요. 예전에는 등급이 1등급~10등급으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신용등급 점수표가 생기면서 조금더 자세히 점수를 확인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 기준은 나이스와 KCB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급과 업체별로 점수의 차등이 조금 있을 수 있습니다. 등급표 기준의 평가방식이 있어, 나이스와 KCB에서 점수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신용등급 점수표

    등급 나이스(NICE) KCB(올크레딧)
    1등급 900 ~ 1,000 942 ~ 1,000
    2등급 870 ~ 899 891 ~ 941
    3등급 840 ~ 869 832 ~ 890
    4등급 805 ~ 839 768 ~ 831
    5등급 705 ~ 804 698 ~ 767
    6등급 665 ~ 749 620 ~ 697
    7등급 600 ~ 664 530 ~ 629
    8등급 515 ~ 599 454 ~ 529
    9등급 445 ~ 514 335 ~ 453
    10등급 0 ~ 444 0 ~ 334

    위에있는 표와 같이 나이스와 KCB에서 정한 신용등급 별 점수가 다르기 때문에 업체별로 신용등급이 다르게 나올수도 있습니다. 예전에는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6등급, 7등급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등급별로 차등이 생겨 이용하는 입장에서 불편한 점이 있었습니다.

    새로 바뀐 신용등급 점수표는 이전과 달라진 점이 있는데,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기준이 바뀌었습니다. 바뀌기 이전에는 신용카드를 발급받으려면 6등급 이상이어야 했지만, 2021년 1월 1일부터는 나이스(NICE) 기준 680점, KCB 기준 576점 이상이 되어야 신용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로 개인신용평점 상위 93%와 장기 연체 가능성 0.65% 이하인 분들에게 신용카드를 발급해준다고 합니다.

     

     

    신용등급 올리는 방법

    신용등급은 신용이라는 말 뜻 그대로, 기본원칙에 맞게 기본적인 내용만 잘 확인하고 참고하시면 등급을 관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신용등급 올리는 방법은 아래를 통해 확인해보겠습니다.

    신용등급을 올리려면, 금융기관의 신용 평가기준을 먼저 확인해보면 신용카드 사용기록, 대출 현황, 연체 이력, 예금 현황 등이 신용등급과 관련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용등급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대출 및 현금서비스 등은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만약 어쩔 수 없이 해야한다면 연체와 미납없이 철저하게 잘 관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카드 연체는 되도록이면 절대 밀리지 않도록 하며, 적은 금액도 연체 이력이 기록되면 신용 점수 회복이 꽤나 걸리기 때문에 주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주거래 은행을 정해서 카드를 사용하는것도 신용등급 올리는 것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용 향상에만 도움되는 것이 아닌, 신용평가와 주거래 금융회사에서 여러가지 혜택도 받을 수 있게 된다고 하네요.

     

    마지막으로 신용등급은 정기적으로 확인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신용등급은 나이스와 KCB에서 1년동안 총 3번의 신용등급 무료조회가 가능하니 정기적으로 신용등급을 확인해주시는 것이 나중에 신용관리를 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