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의 정년연장이 되가면서 공무원연금 수령액은 얼마나 될까요? 일단 공무원 정년 나이를 65세로 연장한다고 합니다. 현재 고령화 시대인만큼 사회에 따른 결과 같아 보입니다. 공무원 정년 연장은 2022년부터 단계적으로 연장된다고 합니다. 아래를 참고해볼까요?
공무원연금은 공무원 및 유족들을 위한 종합사회보장제도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공무원 퇴직을 한 후 생계보장을 위해서 연금급여 및 근로보상적 성격의 퇴직수당과 근로 재해에 대한 보상 및 부조급여를 뜻합니다.
그리고 공무원과 유족의 생활안정과 복리 향상에 도움이 되는것이죠. 이것은 공적보험원리에 따라서 시행되는 장기 소득보장제도입니다. 국가에서 공무원부양제도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무원 정년연장이 되면 그말은 공무원을 할 수 있는 나이가 더 올라간다는 뜻입니다. 공무원 정년연장이 될 시, 분명 장점도 있겠지만 단점도 분명 존재하기도 합니다.
공무원 정년연장으로 인해서 65세까지 일을 할 수 있다보니까 기존, 퇴직 후 무슨 일을할 지에 대한 걱정은 조금 더를 수 있게됩니다. 공무원 정년연장은 공무원 연급을 지급받을 수 있는 시기가 점점 늦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공무원연금 수령액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래를 참고해볼까요?
공무원연금은 공무원들이 받게되는 연금입니다. 국민연금의 경우 일반 직장인들이 가입해서 받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공무원들은 공무원들만의 연금이 따로 있다고 합니다.
실제 공무원연금은 국민연금공단에서 관리하는 것이 아닌, 공무원연금공단에서 관리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시간이 지나 연금수령을 받기 위해서 다른 직장인들처럼 기여금을 내고 있습니다. 그 액수는 국민연금보다는 조금 더 많지만 나중에 더 낸만큼 더 많이 받을 수 있기도 합니다.
기준소득월액의 몇 퍼센트만 지불하다가, 매 년마다 0.25%씩 인상되고 있으며, 2020년의 기준소득월액은 9%입니다. 한마디로 100만 원을 벌게되면 9만원은 반드시 내야하는 것입니다.
100만 원중에서 거의 10만원을 때가서 약간 언짢기도 하지만, 나중에 더 낸만큼 돌려주는 것도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거같습니다.
공무원연금 수령액과 공무원연금 수령기간은 퇴직 후 수령가능한 65세부터 수령받을 수 있게되는데요. 그 이유는 고령화와 관련이 있고, 공무원 채용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는것도 이유에 포함됩니다.
공무원은 호봉과 관계없이 1인당 기준소득월액은 2013년 412만 원에서 2018년 482만 원으로 70만원 정도가 증가했습니다. 1인당 공무원연금 수령액은 2013년 219만 원 → 2018년 235만 원으로 증가되었습니다.
이렇게 보면 결론은 더 낸만큼 더 받을 수 있는것을 뜻합니다. 현재 소득에서 깎이지만, 나중에는 더 받을 수 있는것이죠.
공무원연금 수령액 얼마받는지 계산을 해보자면, 공무원연금 수령은 1, 2, 3기간으로 분류되어 계산법이 모두 다릅니다. 1기간은 2009년 12월 31일 이전, 2기간은 2010년 1월 1일 ~ 2015년 12월 31일, 3기간은 2016년 1월 1일으로 나뉩니다.
1기간, 2기간, 3기간 마다 계산법이 다른데 이런식으로 기간별 계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래를 참고해 봅시다.
▶ 1기간 ① 재직기간 20년미만 => (평균보수월액 현가액 x 재직연수) x 2.5 / 100 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② 재직기간 20년이상 => (평균보수월액 현가액 x 50/100) + (평균보수월액 현가액 x 20년초과 재직연수 x 2/100)
▶ 2기간 => (평균기준소득월액 x 이행률) x 재직연수 x 1.9%(0.019)
▶ 3기간 ① 20년미만 (개인 평균기준소득월액 x 이행률) x 매년지급률 ② 20년이상 (소득재분배 평균기준소득월액 x 이행률) x 매년 지급률 이렇게 계산해보시면 되겠습니다.
구분 | 자기부담금 / 지급률 | ||
날짜 | 2009년 이전 | 2009년 첫 개혁 | 2015년 |
공무원연금 | 5.5% / 2.1 | 7% / 1.9% | 9% / 1.7% |
민간국민연금 | 4.5% 부담률 지급률 1% |
구분 | 현행유지시 연금수령액 | 개혁 후 연금수령액 | |
9급 공무원 | 1996년 임용, 30년 재직 |
200만 원 | 193만 원 |
2006년 임용, 30년 재직 |
169만 원 | 153만 원 | |
2016년 임용, 30년 재직 |
137만 원 | 134만 원 | |
7급 공무원 | 1996년 임용, 30년 재직 |
243 만 원 | 232만 원 |
2006년 임용, 30년 재직 |
203만 원 | 177만 원 | |
2016년 임용, 30년 재직 |
173만 원 | 167만 원 |
* 1996년에 임용된 공무원의 연금 수령액이 왜 200만원인지 궁금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지금 퇴직하고 계시는 분들이 평균적으로 연금 수령액이 250만원 정도 수령받기 때문입니다. 단, 산출서식을 이용해서 계산한것이기 때문에 아주 정확하게는 확인할 수는 없다고 합니다.
공무원연금공단에서 정확하게 왜 134만 원인지에 대한 산출서식을 알려주고 있지는 않아서 134만 원이 나오는 이유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단지 계산식에 맞춰 연금수령액을 예상하는 방법으로 알 수 있는것입니다. 정리하자면 대략적인 금액에 대해서만 알 수 있으며, 미래 연금수령액에 대해서 정확하게는 알 수가 없다고 합니다.
하이패스 사용내역 조회 (0) | 2020.11.08 |
---|---|
국토부 지적도 무료열람 (0) | 2020.11.05 |
2020 코리아 세일 페스타 총정리 (0) | 2020.10.26 |
포크레인 자격증 총정리 (0) | 2020.10.24 |
부동산 등기부등본 열람 총정리 (0) | 2020.10.22 |